파일 또는 디렉토리가 망가졌을시 다시 복구하는 방법을 알아볼까 합니다.
초보자도 쉽게 할 수 있으니 부담갖지 않으셔도 됩니다.
위와같은 오류가 뜨신다면 아래로 내리시며 잘 따라하시면 됩니다.
우선 Windows VISTA이상(Windows 7,8,8.1,10) 사용자분은 Windows키를 누르면 나오는
검색창에 "CMD"를 검색, 엔터를 눌러 명령프롬프트창을 실행하여 줍니다.
XP이하 사용자분의 경우 시작->실행->CMD->엔터(확인)순으로 CMD창을 실행하여 줍니다.
또는 Windows키+R을 눌러 실행을 열어주시면 됩니다.
-아래부터는 모든 Windows가 방법이 같습니다.-
chkdsk e: /f를 입력하여 줍니다.
e:는 D드라이브가 고장이라면 d:로, F드라이브가 고장이라면 f:로 입력하셔야 합니다.
한마디로 고치길 원하시는 드라이브의 문자를 입력하셔야 합니다.
진행을 하시면 정상 드라이브의 경우 핸들오류가 뜹니다.
무시하고 y를 입력하여 줍니다.
잠깐의 시간 후 다시 디렉터리가 나타나게됩니다.
exit를 입력하여 CMD를 종료해주시거나
오른쪽 위 X를 눌러 종료를 해줍니다.
Windows키+E를 누르셔서
디스크가 위와같이 정상으로 돌아왔다면 재부팅을 해주시고
정상이 아니라면 다시한번 진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-블로거는 파일 유실(삭제)등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않습니다.-
CHKDSK란 HDD에 있는 논리오류를 수정해주는 명령어입니다.
USB등을 안전제거하지 않고 그냥 뽑아버리면 논리파일이 날아가게 되는데
이때 이 파일을 복구시키는게 체크디스크(ChkDsk)입니다.
다만, 이 명령어는 절대적으로 논리오류에만 사용하셔야만 합니다.
물리 오류에 사용하신다면 다시는 그 데이터를 복구하지 못할뿐더러
전문 업체에 맡기더라도 데이터 복구는 더 힘들어지고
가격 또한 높아지게 됩니다.
물리오류가 생긴경우, 더이상의 작업은 하지 마시고 전원공급을 끊고 "전문업체"에 맡기시기 바랍니다.
컴퓨터 A/S 센터등에 맡기실경우 데이터 복구율은 극도로 낮고 HDD를 더 고장낼뿐 입니다.
Western Digital의 캐비어 그린, 캐비어 블루, 캐비어 블랙, 캐비어 레드의 차이와 추천용도+벨로시랩터 (0) | 2013.05.17 |
---|---|
SSD가 만들어지는 과정 (0) | 2013.04.29 |
ipTIME 랜카드를 AP모드(무선공유기)로 사용하기 (9) | 2013.04.13 |
8.00GB(2.00GB 사용 가능) 해결방법, windows7 램 인식 문제 (10) | 2013.02.14 |
Bitlocker 설정 해제방법 (Windows7 Ultimate) (4) | 2013.02.12 |
Windows bitlocker 사용방법 (2) | 2013.01.31 |
댓글 영역